본문 바로가기
HTML

마크업 올바르게 사용하기

by lvd-hy 2023. 4. 26.
반응형

 

1. 블록 요소안에 인라인 요소 넣기

인라인 요소 : 콘텐츠가 차지하는 만큼 영역 차지

블록 요소 : 가로로 넓게 화면 영역을 차지

인라인 요소는 항상 블록 요소 안에 들어가야한다.
// h1, div 요소는 블록 요소이고,
// label, span 요소는 인라인 요소입니다.
<label> <h1>나쁜 예시 1</h1> </label>
<span> <div>나쁜 예시 2</div> </span>

2. <b>, <i> 요소 보단 <strong>, <em> 요소 사용하기

웹 표준을 준수하기 위해서는 콘텐츠에 의미를 부여하는 <strong> 요소와 <em>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.

<b>글씨를 두껍게</b>   -- 대체하기 -->  <strong>콘텐츠 매우 강조하기</strong>
<i>글씨 기울이기</i>   -- 대체하기 -->  <em>콘텐츠 강조하기</em>

3. <hgroup> 올바르게 사용하기

<hgroup> 요소들은 목차의 역할을 하면서 콘텐츠의 상하 관계를 표시하기 위해서 사용한다.

// 나쁜 예시
<h1>엄청 큰 글씨</h1>
    <h3>적당히 큰 글씨</h3>
  <h2>큰 글씨</h2>
          <h6>엄청 작은 글씨</h6>
      <h4>그냥 글씨</h4>

// 좋은 예시
<h1>제목</h1>
  <h2>큰 목차</h2>
    <h3>작은 목차</h3>
    <h3>작은 목차</h3>
  <h2>큰 목차</h2>
    <h3>작은 목차</h3>
      <h4>더 작은 목차</h4>
      <h4>더 작은 목차</h4>

4. <br /> 의 연속 사용

요소의 간격이 필요한 경우에 <br /> 보다 <p>로 별도의 단락으로 구분하거나 CSS 속성으로 여백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.

// 나쁜 예시
요소 사이에 여백을 주고싶을 때
<br />
<br />
이렇게 하시면 안 됩니다.

// 좋은 예시 1
<p>요소 사이에 여백을 주고싶을 땐</p>
<p>아예 별도의 단락으로 구별하세요.</p>

// 좋은 예시 2
  //HTML 파일
<p class="margin">요소 사이에 여백을 주고싶을 땐</p>
<p class="margin">CSS 속성으로 여백을 설정해주세요.</p>

  //CSS 파일
.margin { margin: 10px }

5. 인라인 스타일링 사용하기

웹 표준으로 HTML, CSS, JavaScript 등의 사용 방법을 정리하면서 각 영역이 분리되어 여러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.

HTML 요소 안에 인라인으로 스타일링 속성을 정리하는 것은 분리한 영역을 다시 합치는 것과 같다.

웹 표준을 지키기 위해서는 HTML과 CSS 코드를 분리해서 작성하자!
//HTML 파일
<head>
  <style>
    h1 { color : "red" }
  </style>
</head>

(O) <h1>스타일링 속성은 CSS로 작성해 주세요.<h1>
(O) <h2>style 요소를 사용해도, CSS 파일을 따로 작성해도 괜찮습니다.<h2>
(X) <h3 style="color: blue">이렇게 인라인 스타일링으로는 사용하지 마세요.</h3>  
 
//CSS 파일
h2 { color : "yellow" }

 

반응형

댓글